Windows Server 환경에서 클러스터 구성시, 클러스터에 포함할 서버가 추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

 

1. host3.kook.com 노드 추가 > 오류 메시지 발생

2. 추가할 host3의 서비스를 확인 > Remote Registry > 시작

3. Server 서비스 > 시작

4. host3번을 다시 추가

참고

https://jkmoon.tistory.com/entry/%EC%9B%90%EA%B2%A9-%EB%A0%88%EC%A7%80%EC%8A%A4%ED%8A%B8%EB%A6%AC%EC%97%90-%EC%95%A1%EC%84%B8%EC%8A%A4%ED%95%98%EC%A7%80-%EB%AA%BB%ED%96%88%EC%8A%B5%EB%8B%88%EB%8B%A4

 

원격 레지스트리에 액세스하지 못했습니다.

Windows Server 2012 환경에서 클러스터 만들기 마법사를 통해, 클러스터 구성시, 추가 호스트 를 추가할 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 하였습니다. 간단히 해당 오류에 대한 조치 방법을 정리 하도록

jkmoon.tistory.com

 

  • 유튜브와 같은 비디오를 반응형으로 넣을수 있음
  • 기본 선택자는 embed-responsive
  • 화면비율 선택자는 embed-responsive-16by9 or embed-responsive-4by3 을 사용한 내부에 iframe, object, embed, video 태그를 사용한 비디오를 추가하면 됩니다.
  • 유튜브에서 iframe 코드를 복사해 사용할 경우 그대로 붙여넣어도 되며 width, height, frameborder 등의 속성은 필요 없습니다.
  • 화면 너비만 변경하면 가로 세로 비율이 자동으로 바뀝니다.

비디오 사용법

<div class=”embed-responsive embed-responsive-16by9“>
  <video autoplay loop class=”embed-responsive-item“>
    <source src=http://techslides.com/demos/sample-videos/small.mp4 type=video/mp4>
  </video>
</div>

Google ppt 반응형으로 넣기

google ppt 주소 및 공유 링크로 추가하는 경우 text 일부가 깨지는 경우가 발생

web 게시(삽입) 형태로 진행

웹에 게시 선택

'삽입' 메뉴 선택 후, 원하는 옵션으로 조정하고 '게시' 버튼을 클릭

웹 게시 옵션 설정

웹 게시 문서 주소를 확인 ( 아래 형태로 공유됨 )

<iframe src="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XXXXXXXXXXXXX/embed?start=false&loop=false&delayms=3000" frameborder="0" width="1280" height="749" allowfullscreen="true" mozallowfullscreen="true" webkitallowfullscreen="true"></iframe>

웹 게시 문서 주소 확인

웹에 게시(삽입) 사용법

<div class="embed-responsive embed-responsive-16by9">  
  <iframe class="embed-responsive-item" src="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XXXXXXXX/embed?start=false&loop=false&delayms=300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true" mozallowfullscreen="true" webkitallowfullscreen="true"></iframe>
</div>

 

참고

https://zzznara2.tistory.com/586

mssql 라이선스를 standard로 운영 도중 enterprise로 올리고 싶은 경우 가능

enterprise에서 standard로 다운그레이드는 불가능

아래 setup.exe 파일은 enterprise의 실행 파일( enterprise 설치 파일이 로컬 디스크에 있어야함 )

아래 예의 경우 SQL2016SP1_ENT_ENG 폴더에 mssql 설치 파일이 있음

-- InstanceName : 설치된 SQLServer 인스턴스 정보 ( Default : MSSQLSERVER )
-- PID : MSSQL 제품 키 ( 제품키가 포함된 버전은 생략 )
setup.exe /q /ACTION=editionupgrade /InstanceName=MSSQLSERVER /PID=<appropriatePid> /IAcceptSQLServerLicenseTerms

참고

https://laigo.tistory.com/786

배경

telegram으로 DB 성능 및 상태 모니터링을 하는 경우, php, python... 등으로 telegram 대화창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callbak_data에 정보를 추가하여 처리함.

callback_data로 처리를 하면 telegram 대화창에는 보이지 않지만, python에서 callbak_data를 받아서 처리 가능한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임.

이슈

callback_data에 너무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일부 데이터만 전달됨

원인

callback_data에 최대로 전달할수 있는 정보는 64개의 문자로 제한됨.

 

참고 : https://github.com/nmlorg/metabot/issues/1

  • SSD(Solid-State Drive) — 주요 성능 특성이 IOPS인 작은 I/O 크기의 읽기/쓰기 작업을 자주 처리하는 트랜잭션 워크로드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HDD(Hard Disk Drive) — 주요 성능 특성이 처리량인 대규모 스트리밍 워크로드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SSD(Solid-State Drive)

범용 SSD(General Purpose SSD) : 99.8%~99.9% 의 내구성을 가지며, 지연 시간이 짧은 대화형 앱 또는 개발/테스트 환경에 적합

Provisioned IOPS SSD : io2, io2Block Express타입의 경우 99.999% 내구성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빠른 IOPS가 요구되는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적합

보다 견고한 내구성이 필요한 경우 io2 타입을 선택하는게 좋으며, io2Block Express의 경우 보다 향상된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지만 아직 평가판이라 조금더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HDD(Hard disk Drive)

처리량 최적화 HDD : 99.8%~99.9%의 내구성을 가지며, 처리량이 많은 '빅 데이터', '데이터 웨어하우스', '로그 처리' 등의 형태로 사용하기에 적합

콜드 HDD : 99.8%~99.9%의 내구성을 가지며, 자주 엑세스 하지 않으며 스토리지 비용을 최소화 하고 싶은 형태로 사용하기에 적합

참고 :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ebs-volume-types.html#EBSVolumeTypes_piops

 

Amazon EBS 볼륨 유형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이제 us-east-1, us-west-2, us-east-2, eu-central-1, ap-southeast-1 및 ap-northeast-1에서 io2 Block Express 볼륨 평가판에 옵트인할 수 있습니다. 옵트인하면 옵트인 리전의 계정에서 생성한 모든 io2 볼륨이 io2 Block Exp

docs.aws.amazon.com

EC2 : AWS 가상 컴퓨터를 의미하며, C5, C5n, C5a 타입을 제공

- 일반적으로 C5 타입을 선택하며, 필요 스펙에 따라 c5.large ~ c5.24xlarge 에서 선택.

- 위 모델은 스토리지를 EBS 전용의 리모드 형태로 제공됨

- 보다 스토리지 성능을 올리기 위해서 c5d 타입( c5d.xlarge ~ cd5.xlarge )을 선택하면 로컬 NVMe 기반 SSD가 호스트 서버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운영 가능

- C5n 타입의 경우 보다 네트워크 대역폭을 넓게 사용가능

- C5a 타입의 경우 C5타입 대비 성능이 조금 낮지만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운영 가능

참고 : https://aws.amazon.com/ko/ec2/instance-types/c5/

 

Amazon EC2 C5 인스턴스 – Amazon Web Services(AWS)

C5a 및 C5ad 인스턴스는 광범위한 컴퓨팅 집약적 워크로드 세트에 최고의 x86 가격 대비 성능을 제공하고, 효율성 향상을 위해 7nm 프로세스 노드에 구축된 2세대 3.3GHz AMD EPYC 7002 시리즈 프로세서를

aws.amazon.com

 

현재 위치에서 디렉토리 즉 폴더 개수 세기

 ls -l | grep ^d | wc -l


현재 위치에서 파일의 개수 세기

ls -l | grep ^- | wc -l

 

현재 디렉토리의 하위 파일 개수 세기

find . -type f | wc -l


출처: https://lee-mandu.tistory.com/420 [개발/일상_Mr.lee]

mssql 운영시 의도치 않게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 추적을 위한 방안

'TestDB' DB의 'tblTest'테이블 데이터 삭제 시, BAK_tblTest_Delete 테이블에 삭제 데이터 및 세션 정보 저장

USE [TestDB]
GO

SET ANSI_NULLS ON
GO
SET QUOTED_IDENTIFIER ON
GO
ALTER TRIGGER [dbo].[delete_info_insert]
ON [dbo].[tblTest]
FOR UPDATE, DELETE AS

	DECLARE   @login_name	nvarchar(128)
		, @program_name	nvarchar(128)
		, @host_name	nvarchar(128)

			
	SELECT    @login_name = ISNULL(original_login_name, ORIGINAL_LOGIN())
		, @program_name = T1.program_name
		, @host_name = T1.host_name
	FROM sys.dm_exec_sessions T1
	WHERE T1.session_id = @@spid

	INSERT INTO BAK_tblTest_Delete ([Seq], [ID], [TestParam], [CreateDatetime], [loginname], [program_name], [hostname])
	SELECT
		[Seq], [ID], [TestParam], [CreateDatetime], @login_name, @program_name, @host_name
	FROM deleted;

 

"데이터베이스 보안 주체는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을(를) 소유하며 삭제할 수 없습니다."라는 에러는 MSSQL에서 사용자를 삭제하려고 할때 이 사용자가 스키마를 소유하고 있다면 삭제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온다.

위 그림처럼 SSMS에서 마우스 클릭을 통해  사용자를 삭제하려고 할때 경고 안내창이 나온다.

 

아래와 같이 Drop User isoltek; 라는 SQL을 실행하여 삭제하려고 하면 결과 메시지에 삭제할 수 없다는 내용이 나온다.

 

위 에러는 삭제할 사용자가 소유한 스키마를 dbo 로 이관 시키고 삭제하면 해결된다.

 

사용자가 소유한 스키마를 dbo로 이관 시키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가. 마우스 클릭을 통해 이관하는 방법

나. SQL 창에서 SQL을 실행하여 이관하는 방법

 

이해할 있도록 이 과정을 모두 캡쳐해서 붙인다.

(아래 붙인 그림들은 클릭하면 모두 원본으로 볼 수 있다. 만약 글씨가 작아 크게 보고자 할경우 그림을 클릭하면 된다.)

 

여기까지가 마우스를 사용한 과정이다.

 

이것을 SQL 창에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면 위 그림과 같은 결과를 갖는다.

 

Select * From [sys].[schemas] 
Where [principal_id]=USER_ID('isoltek');


Alter Authorization On Schema::isoltek To dbo;

 

이렇게 두줄이면 되는 것을 마우스로 하려면 10개 정도의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사람마다 어떤 것이 편할지는 모른다. 각자 취향이 있으므로 자신에게 편한 방법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렇게 하고난 후 삭제를 하면 "데이터베이스 보안 주체는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을(를) 소유하며 삭제할 수 없습니다."라는 에러 없이 삭제할 수 있다.

 

참고 : https://m.blog.naver.com/reinstate10/220588912597

Perl 설치중 Perl MakeFile.PL명령을 실행하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Can't locate ExtUtils/MakeMaker.pm in @INC (@INC contains: /usr/local/lib64/perl5 
/usr/local/share/perl5 /usr/lib64/perl5/vendor_perl /usr/share/perl5/vendor_perl 
/usr/lib64/perl5 /usr/share/perl5 .) at [Makefile.PL](http://makefile.pl/) line 7.

해결방법

  •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CPAN을 설치해주자.
 yum install perl-CPAN

참고 : https://jinseongsoft.tistory.com/221 [진성 소프트]


to Top